반응형
LTS, GRID, DIMSCALE, SNAP은 도면을 작성할때 처음부터 써 주어야하는 명령어들입니다. 이 것들을 각각 적어주는게 귀찮기도하고, 시간도 아깝고 손가락도 아파서 한방에 사용하는 리습을 만들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.
LTS, GRID, DIMSCALE, SNAP
셋팅을 한방에 끝내는 리습
명령어는 "Defun c: " 다음에 나오는 set입니다. 편한걸로 바꾸어 사용하시면 됩니다. 원래 set명령어는 setvar 변수를 변경하는 명령어라서 잘 사용하지는 않기때문에 set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.
(defun c:set( / scal limx grid snap ltsc)
(setq olderr *error* *error* error)
(setq scal (getreal "\nScale factor<1>:"))
(if (eq scal nil) (setq scal 1))
(setq limx (list (* scal 396) (* scal 273)))
(setq grid (list (* scal 8) (* scal 8)))
(setq snap (list (* scal 4) (* scal 4)))
(setq ltsc (* scal 8))
(setvar "cmdecho" 0)
(setvar "limmin" '(0 0))
(setvar "limmax" limx)
(setvar "gridunit" grid)
(setvar "snapunit" snap)
(setvar "ltscale" ltsc)
(setvar "dimscale" scal)
(setvar "cmdecho" 1)
(prin1)
)
SET -> 스페이스 -> 300 -> 스페이스
명령어 set을 입력한 뒤 도면의 스케일의 숫자를 입력해주면 됩니다. 예를들어서 도면의 스케일이 1/300이면 300을 입력해주면 됩니다. LTS는 도면 전체에 라인타입스케일을 주는 방법이므로 여러가지의 스케일의 도면이 한 장에 있는 경우에는 리습에서 LTS가 있는 줄 전체를 지우고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.
LTS와 DIMSCALE이 원하는 스케일대로 표시되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.
그리드와 스냅을 켜고(F7, F9) 치수를 넣어보았습니다. GRID와 SNAP도 원하는 스케일대로 표시되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. 저는 셋팅을 안해놔서 그리드가 점으로 표시되는데, 사무실에서는 선으로 표시됩니다.
반응형
'빠른퇴근 프로젝트 > 캐드 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절반만 offset 하는 리습 (0) | 2020.12.30 |
---|---|
치수선 및 치수보조선 가시성 제어 리습 (2) | 2020.12.30 |
FILLET을 0으로 만드는 리습 (2) | 2020.12.28 |
캐드의 객체(오브젝트)의 종류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? (3) | 2020.05.07 |
[오토캐드] 플롯(프린트)을 쉽게! 클릭두번이면 된다고! (28) | 2020.05.06 |